방문신청

  •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타 지역과 차별화된 전략 수립
  • 공급자 중심 일자리 정책에서 수요자 중심의 일자리 정책으로 전환

사업개요

시간적 범위

  • 2023년 ~ 2026년(4개년)

내용적 범위

  • 지역여건 분석 : 기본현황, 인구구조, 산업구조, 고용동향, 노동시장 구조 등 민선8기 일자리 비전 및 목표 설정
  • 핵심 전략과제
    1. 관광산업 활성화
      • 관광객 연간 500만명 유입
      • 관광산업 체계적 육성과 주민 수요 증가를 위한 활동
      • 생약초 고부가가치화 및 체류형 관광기반 구축
      • 축제 및 행사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2. 농수축임산업 고도화
      • 농수축임산업 육성예산 35% 확대
      • 지역자원 연계 농수산업 고도화 추진
      • 생약초 및 특산물 고부가가치화
      • 스마트팜 기술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3. 계층맞춤형 일자리 창출
      • 군민 모두가 더불어 행복한 장흥 조성을 위한 전략
      • 청년, 여성, 노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일자리 지원 및 복지 강화
      • 청년 정착형 창업지원과 지역 현안해소형 일자리 창출
    4. 인구유입형 일자리 창출
      • 2026년까지 인구 4만명 달성
      • 인구감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맞춤형 일자리 창출
      • 산림치유형 워케이션 및 스마트팜 조성
      • 축제관광 인구를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하여 인구 유입 확대

일자리창출 목표 : 15,470개

일자리창출 목표 안내표로 구분, 계,2023년,2024년,2025년,2026년 항목으로 구성된 표
구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목표 15,470 3,744 3,837 3,901 3,988

추진내용

  • 관광산업 : 생약초를 활용해 고부가가치의 사계절 관광 일자리 창출 실현.
  • 농어업 : 농가 고도화와 청년농 육성전략 동시 추진으로 기술력, 생산성, 일손 수요 대응.
  • 일자리창출 : 청년, 여성, 노인 등 계층별 일자리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 현안해소형 일자리 창출과 청년 정착형 창업지원 추진.
  • 인구유입 : 우드랜드와 연계한 산림치유형 워케이션 조성으로 축제관광 인구를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해 인구 유입 단계 마련.

기대효과

  • 공약목표, 일자리대책 종합계획, 세부계획까지 전략적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고용 안정을 도모
  • 이러한 전략과제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에게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제공하며, 인구 유입을 촉진하여 지역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함.

장흥군 민선8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