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는 행정체계 내에서 유엔아동권리협약이 실현될 수 있는 대표적인 수단이자 아동이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친화적인 환경을 가진 지역 사회를 말합니다. 공공 정책과 사업을 결정할 때 아동의 목소리, 필요, 우선순위 등을 필수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아동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도시 전체가 아동친화적인 공간으로 거듭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4대 유엔아동권리 협약

4대 유엔아동권리 협약 현황 정보를 제공하며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항목으로 구성된 표
생존권 기본적인 삶을 누리는데 필요한 권리
  • 적절한 생활 수준을 누릴 권리
  • 안전한 주거지에서 살 권리
  • 충분한 영향을 섭취하고 기본적인 보건서비스를 받을 권리
보호권 유해한 것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 모든 형태의 학대와 방임, 차별, 폭력, 과도한 노동, 약물과 성폭력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발달권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데 필요한 권리
  • 교육받을 권리
  • 여가를 즐길 권리
  • 문화생활을 하고 정보를 얻을 권리
  • 생각과 양심과 종교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권리
참여권 자신에게 영향을 주는 일에 대해 의견을 말하고 존중받을 권리
  • 표현의 자유
  • 양심과 종교의 자유
  • 평화로운 방법으로 모임을 자유롭게 열 수 있는 권리
  •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
  • 유익한 정보를 얻을 권리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10가지 구성 요소

원칙 1. 아동의 참여

  • 아동과 관련된 일을 시행할 때 아동의 의견을 듣고 고려해야 합니다.

원칙 2. 아동친화적인 법체계

  • 모든 아동의 권리를 증진하고 보호하는 조례와 규정이 있어야 합니다.

원칙 3. 아동권리 전략

  •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원칙에 따라 아동권리 전략을 개발해야 합니다.

원칙 4. 아동권리 전담기구

  • 아동의 의견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상설기구를 마련해야 합니다.

원칙 5. 아동 영향 평가

  • 정책과 조례, 규정 등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체계적 과정을 마련해야 합니다.

원칙 6. 아동 관련 예산확보

  • 아동을 위해 적절한 예산을 확보하고, 아동 관련 예산이 잘 쓰이는지 분석해야 합니다.

원칙 7. 정기적인 아동 실태보고

  • 아동의 권리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해야 합니다.

원칙 8. 아동권리 홍보

  • 아동권리에 대해 모든 주민에게 널리 알려야 합니다.

원칙 9. 아동을 위한 독립적 대변인

  • 아동권리 증진을 위해 일하는 비정부기구와 독립적 인권기구를 개발해야 합니다.

원칙 10. 아동 안전을 위한 조치

  • 아동이 안전하고 오염되지 않은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해야 합니다.

아동친화도시 인증절차

인증신청→MOU체결→심의자료 준비 및 제출→심의→인증완료

1. 인증신청

  • 지방자치단체장이 유니세프한국위원회에 인증 신청

2. MOU 체결

  • 유니세프한국위원회가 전달한 자가평가지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

3. 심의자료 준비 및 제출

  • 유니세프한국위원회가 인정하는 평가위원회가 지자체 제출 자료를 심사

4. 심의

  • 평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유니세프한국위원회가 해당 지자체를 아동친화도시로 인증

5. 인증완료

  • 인증 후 4년간 전략 사업 수행 및 상시적 모니터링 진행

아동친화도시 추진과정

2018년

  • 2018.05 :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 지방정부협의회 규약 고시
  • 2018.09 : 아동친화도시 지방정부협의회 가입
  • 2018.11 : 유니세프 업무 협약, 아동복지 NGO단체 협약
  • 2018.12 : 어린이 의회·권리모니터링단 운영

2019년

  • 2019.03 : 아동친화도 조사 연구용역 착수
  • 2019.05 : 지역사회 협력체계 협약(군, 의회, 경찰, 교육, 소방)
  • 2019.07 : 아동친화도시 조례 제정·공포
  • 2019.09 : 아동친화도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및 용역완료
  • 2019.10 : 어린이의회 정례회 개최
  • 2019.12 : 정책제안 반영, 아동청소년 진로페스티벌 개최

2020년

  • 2020.03 : 아동친화도시 4개년 계획 및 아동영향평가 진단서 발간
  • 2020.05 : 군 홈페이지 [아동행복 의견함] 신설
  • 2020.07 : 주민복지과 아동친화팀 신설
  • 2020.10 : 장흥군 아동친화도시 인증

2021년

  • 2021.07 : 제18회 아동총회 전남지역대회 개최
  • 2021.08 : 저소득층 화장실 제로화사업 추진(장흥군⇔초록우산어린이재단)
  • 2021.09 : 장흥군 청소년 정책제안의 날 운영
  • 2021.10 : 다함께돌봄센터 3개소 신규 설치

2022년

  • 2022.05 : 지역주민 대상 아동친화도시 4대 권리 등 홍보
  • 2022.09 : 장흥군 여흥(與興)두드림센터 준공
  • 2022.09 : 아이돌보미 본인부담금 지원
  • 2022.10 : [찾아가는 프렌즈 게임랜드] 추진(장흥군⇔㈜카카오게임즈)
  • 2022.10 : 장흥군&교육지원청 [어린이 한마당] 행사 연합 추진
  • 2022.12 : 코로나블루 극복을 위한 [어린이 갤러리] 운영

2023년

  • 2023.03 : 초등학교 입학 축하금 지급
  • 2023.04 : 탐진강 힐링 작은 음악회 개최
  • 2023.05 : 생애초기 건강관리사업 시행
  • 2023.06 : 신규 공동생활가정 시설 운영 지원
  • 2023.08 : 아빠-아이 함께 돌봄사업 [아빠 육아 사진 공모전] 개최
  • 2023.09 : 신규 다함께돌봄센터 리모델링 준공

2024년

  • 2024.03 : 아동친화도시 추진위원회 재정비
  • 2024.04 : 아동친화도시 표준조사 연구용역 시행
  • 2024.05 : 장흥군 어린이 Festival 개최
  • 2024.10 : 아동친화도시 조성 군민참여 원탁토론회 운영
  • 2024.12 : 아동친화도시 표준조사 결과보고
  • 2024.12 : 장흥군 아동권리옹호관 (옴부즈퍼슨) 재위촉

국내 아동친화도시 인증 현황

국내 아동친화도시 인증 현황 정보를 제공하며 연번,연도,지방정부명,인증일,연번,연도,지방정부명,인증일 항목으로 구성된 표
연번 연도 지방정부명 인증일 연번 연도 지방정부명 인증일
1 2013 서울 성북구 (최  초) 2013. 11. 20. 32 2019
(10)
경기  시흥시 (최  초) 2019. 4. 15.
(재인증) 2023. 12. 26.
33 광주  동구 (최  초) 2019. 4. 29.
(재인증) 2017. 11. 20. (재인증) 2023. 8. 7.
(3차인증) 2022. 5. 26. 34 부산광역시 2019. 5. 2.
35 서울  양천구 2019. 5. 29.
2 2016
(5)
전북 완주군 (최  초) 2016. 1. 8. 36 서울  금천구 2019. 7. 9.
(재인증) 2020. 3. 12. 37 경북  구미시 (최  초) 2019. 7. 25.
(재인증) 2023. 11. 30.
3 부산 금정구 (최  초) 2016. 9. 23. 38 서울  구로구 2019. 8. 21.
(재인증) 2021. 3. 8. 39 충남  논산시 2019. 9. 25.
4 전북 군산시 (최  초) 2016. 10. 10. 40 경기  부천시 2019. 12. 23.
(재인증) 2021. 6. 25. 41 광주광역시 2019. 12. 28.
5 서울 도봉구 (최  초) 2016. 11. 11. 42 2020
(9)
경기  용인시 2020. 1. 13.
(재인증) 2021. 6. 25. 43 강원  횡성군 2020. 2. 18.
6 서울 송파구 (최  초) 2016. 12. 22. 44 서울  관악구 2020. 3. 9.
(재인증) 2021. 6. 25. 45 충북  제천시 2020. 7. 1.
충북  옥천군 2020. 10. 25.
46
7 2017
(13)
서울 강동구 (최  초) 2017. 3. 22. 47 전남  장흥군 2020. 10. 19.
(재인증) 2021. 6. 25. 48
8 경기 오산시 (최  초) 2017. 5. 31. 49 전남  화순군 2020. 12. 11.
(재인증) 2021. 8. 27. 50 서울  은평구 2020. 12. 14.
9 전북 전주시 (최  초) 2017. 6. 26. 51 서울 동대문구 2020. 12. 29.
(재인증) 2022. 2. 10. 52 2021
(18)
경남  김해시 2021. 2. 1.
10 충북 충주시 (최  초) 2017. 8. 7. 53 대전  서구 2021. 4. 22.
(재인증) 2022. 3. 11. 54 대구  달서구 2021. 6. 10.
11 서울 종로구 (최  초) 2017. 8. 11. 55 전북  익산시 2021. 6. 17.
(재인증) 2022. 5. 4. 56 부산  서구 2021. 8. 19.
12 광주 서구 (최  초) 2017. 8. 17. 57 부산  사하구 2021. 8. 23.
(재인증) 2022. 6. 21. 58 경기  성남시 2021. 8. 30.
13 경기 수원시 (최  초) 2017. 9. 4. 59 충북  증평군 2021. 9. 7.
(재인증) 2022. 5. 30. 60 경기  의왕시 2021. 11. 9.
14 세종특별자치시 (최  초) 2017. 9. 19. 61 인천  남동구 2021. 11. 16.
(재인증) 2021. 12. 30. 62 서울  용산구 2021. 12. 14.
15 대전 유성구 (최  초) 2017. 10. 31. 63 전남  나주시 2021. 12. 15.
(재인증) 2021. 12. 16. 64 충북  청주시 2021. 12. 16.
16 인천 서구 (최  초) 2017. 11. 7. 65 서울  영등포구 2021. 12. 17.
(재인증) 2021. 11. 12. 66 울산  북구 2021. 12. 21.
17 충남 아산시 (최  초) 2017. 11. 14. 67 부산  부산진구 2021. 12. 28.
(재인증) 2023. 2. 15. 68 경기  평택시 2021. 12. 28.
18 서울 강서구 (최  초) 2017. 12. 11. 69 경남  창원시 2021. 12. 28.
(재인증) 2022. 11. 3. 70 2022
(14)
광주  북구 2022. 2. 8.
19 경북 영주시 (최  초) 2017. 12. 22. 71 경기  군포시 2022. 2. 22.
(재인증) 2022. 5. 26. 72 경기  안산시 2022. 3. 3.
20 2018
(12)
전남 광양시 (최  초) 2018. 1. 11. 73 경북  경주시 2022. 5. 10.
(재인증) 2022. 3. 8. 74 충남  천안시 2022. 5. 12.
21 서울 노원구 (최  초) 2018. 2. 5. 75 경북  칠곡군 2022. 5. 30.
(재인증) 2022. 5. 30. 76 충남  홍성군 2022. 6. 21.
22 전남 순천시 (최  초) 2018. 2. 7. 77 부산  수영구 2022. 8. 4.
(재인증) 2023. 9. 26.
23 서울 성동구 (최  초) 2018. 2. 13. 78 서울  강남구 2022. 8. 31.
(재인증) 2022. 5. 10. 79 경남  고성군 2022. 10. 14.
24 경기 광명시 (최  초) 2018. 3. 9. 80 충북  진천군 2022. 11. 17.
(재인증) 2023. 8. 24.
25 서울 광진구 (최  초) 2018. 3. 21. 81 부산  연제구 2022. 11. 28.
(재인증) 2023. 6. 5.
26 충남 당진시 2018. 3. 27. 82 경기  광주시 2022. 12. 5.
27 충북 음성군 (최  초) 2018. 4. 12. 83 서울  서초구 2022. 12. 30.
(재인증) 2022. 11. 9. 84 2023
(10)
대전  대덕구 2023. 1. 2.
28 서울 서대문구 (최  초) 2018. 5. 28. 85 서울  동작구 2023. 4. 13.
(재인증) 2022. 7. 15. 86 충남  부여군 2023. 4. 26.
29 경기 화성시 (최  초) 2018. 6. 26. 87 충남  예산군 2023. 6. 20.
(재인증) 2022. 11. 15. 88 경남  진주시 2023. 7. 4.
30 인천 동구 (최  초) 2018. 8. 18 89 경기  하남시 2023. 7. 14.
(재인증) 2023. 1. 17. 90 서울  마포구 2023. 7. 20.
31 서울  강북구 (최  초) 2018. 9. 18. 91 전남  여수시 2023. 9. 4.
(재인증) 2022. 11. 17. 92 대구광역시 2023. 9. 12
93 강원  춘천시 2023. 12. 1.